정방행렬이 아니거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일반화된 역행렬
⇒ Full Rank(선형 독립인 열의 개수 = 열의 개수)가 아니거나 정방행렬이 아닐 때,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다.
즉, $Ax = b$의 최소 제곱 해를 구하고 싶을 때, 단, $A$행렬은 정방행렬이 아니거나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다고 가정할 때, $Ax= b$를 근사할 수 있는 $x$를 구하기 위해 $A$의 유사 역행렬$A^+$을 구하는 것이 목적
세로로 긴 비정방행렬 $R^{m \times n}$ $(m > n)$
⇒이 방정식에는 해가 없을 수도 있다.
$ex)\begin{bmatrix} 1 & 3 \\ 4 & 0 \\ 1 & 2 \end{bmatrix}$ ⇒ $a+3b$, $4a$ , $a+2b$
가로로 긴 비정방행렬 $R^{m \times n}$ $(m < n)$
⇒ 해가 여러 개일 수도 있다.
$ex) \begin{bmatrix} 1 & 2 & 3&4 \\ 3 & 2 & 3 &7 \end{bmatrix}$⇒ $a+2b+3c+4d$, $3a+2b+3c+7d$
$A=UDV$
$A^T=(UDV^T)^T$
$A^+= VD^TU^T$
$A ^+$ = $VD^+U^+$
$D$는 $Diag$(대각행렬)이기에, 역수를 취한 값들이 역행렬이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