행렬의 계수(Rank) 개념을 이용하면, 선형연립방정식의 해의 존재성, 유일성, 그리고 그 해집합의 일반적인 구조에 관한 완벽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.
$n$개의 미지수를 갖는 선형연립방정식은 이에 대응하는 계수행렬과 첨가행렬의 계수(rank)가 서로 같고 그 값이 $n$이면 유일해를 갖게 된다.
$n$개의 미지수 $x_1,...,x_n$에 관한 $m$개의 선형연립방정식이 모순이 없기 위한(consistent), 다시 말해 해를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으로
선형연립방정식이 유일한 해를 갖기 위한 필요충분조건은 $A$와 $\tilde{A}$가 같은 계수 $r= n$을 갖는 것이다.
만일 $A$와 $\tilde{A}$가 같은 계수 $r$을 갖고, $r<n$이면, 무수히 많은 해가 존재한다.
$n-r$개의 미지수로 나머지 $r$개의 미지수를 표현함으로써 이 모든 해를 얻을 수 있다.
아래의 연립방정식들의 우변이 모두 0일때, 제차연립방정식이라고한다.
하나라도 0이 아니면, 비제차방정식이라고 부른다.